본문 바로가기

728x90

화학

(109)
Graphical Abstracts Graphical Abstract, Table of Contents 1. Sequential detection of Fe3+/2+ and pyrophosphate by a colorimetric chemosensor in a near-perfect aqueous solution. Photochemical Photobiological Sciences, 2017, 16, 1812-1820. 2. A thiophene-based blue-fluorescent emitting chemosensor for detecting indium (III) ion. Inorganic Chemistry Communications, 2018, 97, 171-175. 3. A Highly Selective Fluorescent ..
실험실 와이퍼의 대명사 Kimtech는 우리나라 제품일까? 연구실 생활을 몇년 하면서 Kimtech라는 와이퍼, 쉽게말해서 실험실용 휴지는 Kimtech이 거의 독과점하다시피 쓰는 것 같다. 다른 브랜드를 본 기억도 안나고 어지간하면 이걸 사서 쓰는 것 같은데, 매번 생각할 때마다 김씨 누가 만든 회사인가보다 생각하곤 했다. 근데 이게 진짜 김씨가 만든 한국인 회사인가 싶어서 검색해보니 정말 멍청한 짓이었음을 깨달았다 Kimtech의 KIM은 Kimberly의 약자였던 것이다.. 정확한 회사명은 Kimberly-Clerk professional이라고 하는데, 와이퍼 외에도 다양한 연구실 유지관리에 필요한 제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Kimberly는 종종 사용되는 이름의 하나라고 한다. 민수 철수 이런느낌인가 싶다. 아무튼 한국 회사는 아닌걸로..
크리스탈 구조 분석에 자주 등장하는 ORTEP, 50% ellipsoid 는 무엇일까? 우리가 원하는 화학 물질의 구조분석의 가장 정확한 분석은 XRD (X-ray diffraction)이라는 X선 회절 기법이다. 이를 통해서 가장 정확한 구조 분석이 가능하며, 최근에는 이것의 해상도가 수소원자를 구분해낼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했다 (여담이지만, 이 정도로 resolution이 올라가기 전에는 중간에 끼어있을지도 모르는 Hydride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bond length, 1H NMR 등으로 의심되는 위치에 Hydride (혹은 proton)가 있음을 혹은 없음을 증명해야 했다) 하지만 분석 기술은 현저히 발달했으나, 이를 이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Crystal 구조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실정이며, 확실한 Crystal 구조를 얻기위한 테크닉은 여전히 미지수이다. 이런 저런 '노하..
양자 수득률 (Quantum Yield) 어떻게 구해야 할까? / 상대 양자수득률 구하기 (relative quantum yield) 형광체를 다루는 분야에서 Quantum yield (QY), 양자 수득률은 굉장히 중요한 평가요소 중의 하나이다. 집어넣은 광자 (photon)에 대해서 얼만큼의 광자가 튀어나오는지를 계산하는 양자 수득률은 형광체 효율성의 척도로써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간단히 개념을 되짚어 보면, QY는 측정된 광자의 개수/집어넣은 광자의 개수 로 정의되므로, 예를 들어 광자 100개를 집어 넣어서 100개가 나오면 QY는 1 (100%)이며, 50개만 나오면 0.5 (50%)가 되는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QY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QY를 측정해주는 기기를 사는 방법 2. QY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QY를 측정해주는 기기를 사는 방법은 충분한 자금만 있다면 얼마든지 정확히 측정이 ..
형광(fluorescence)이 나타나는 메커니즘 정리 1. CHEF (Chelation Enhanced Fluorescence) -CHEF는 형광체를 가진 분자의 구조가 전이금속과 결합하면서 복사성 전이 (radiative transition)에서 비복사성 전이(non-radiative transition)으로 주된 이완 과정이 바뀌게 됨을 통해 형광이 나타난다고 설명한다. -복사성 전이는 분자의 회전, 진동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들은 보통 열로 방출된다. 즉 분자에 에너지를 가했을 때, 받은 에너지는 들떴다가 열과 같은 복사성 전이를 통해서 바닥상태로 돌아옴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완 과정이 전이금속과의 결합을 통해서 막히게 되는데, 착물을 형성하게 되면서 리간드 구조의 변화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를 받은 분자는 이..
참고문헌 프로그램, Mendeley 사용 방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