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올린/클래식

전체 연주자가 서서 연주하는 경우가? 시대연주 (Period Performance)에 대한 생각

728x90



 최근에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중에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London Symphony Orchestra, LSO)가 슈만 교향곡 3번을 연주한 것이 있다. 이전에 연주했던 경험이 있어서 들어봐야지 하고 딱 틀었는데, 첼로를 제외한 전체 연주자가 서서 연주하는 것이 아닌가. 심지어 관악기 연주자들까지 서서 하길래 오 이건 신선하다 하면서 영상을 쭉 감상했다. 









그리고는 궁금하니 좀 찾아보다가 댓글을 봤는데 몇 분이 완전 화가난 상태로 댓글을 단 것을 봤다. 아니 애꿎은 연주자들을 왜 서서 고생시키냐? 는 정도의 뉘앙스였던 것 같다.




여기에 런던심포니 공식 유튜브계정은 '서서하는' 연주에 대해서 해명을 하는데, 지휘자인 가디너 (Eliot Gardiner)가 시대연주 (Period performance)를 의도했기 때문이며, 이는 슈만의 이 교향곡이 연주될 당시에 이렇게 연주됐기 때문이다 라고 이야기 한다.


시대연주는 그 당시에 연주했던 그대로의 방식을 재현하며 연주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가령 바로크 활을 사용한다는 식으로 그 당시 악기를 사용하고, 튜닝을 낮게 한다던가 하는 식으로 그 당시 연주를 재현하는 것이다. 자세한 정보는 시대연주링크 에서 참고하시면 되겠다. 나는 처음에 신선하다는 생각 밖에 하지 않았는데 생각보다 격한 반응이 댓글에서 보이길래 이것에 대해서 좀 더 찾아봤다.


가디너가 이렇게 서서 연주하게 시킨 이유는 그당시 시대 연주이기도 하지만 연주자들의 표현에 도움을 준다는 이유로 시킨 것 같다. 


출처 : https://lso.co.uk/more/blog/1141-one-schumann-four-symphonies.html


더 가까이 현악기 주자들이 모이면서 마치 개개인이 솔리스트인 것처럼 연주할 수 있고, 더 큰 에너지를 부여한다. 슈만의 독특한 음악적 언어는 베토벤, 모차르트, 하이든 등의 작곡가에서 온게 아니다. 서서하는 것에 대한 집중보다는 슈만의 교묘한(?, tricky) 음악적 언어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정도로 해석하면 적당하려나. 


아무튼 서서하는 건 슈만의 음악을 이해하는 데에 부수적인 역할이라고 하는 것 같다. 찾아보면서 느낀 바로는 시대연주는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영역인 것 같다. 이런 호불호는 과거에 시대연주만이 올바른 클래식 연주방법이라고 주장한 과격한 지휘자 혹은 음악학자들의 주장에서 반감이 나타나면서 그런 영향이 좀 더 커진 것이 아닐까 싶다. 나무위키에 나왔던 내용을 보면 시대연주를 지향하면서 모순적인 모습을 보였던 지휘자들도 있는 것 같고 말이다. 나도 어느것이 정답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이런 갈등상황에서 항상 좋은쪽으로 흘러가는 방향은 '그것도 좋고 이것도 좋다' 라는 화법인 것 같다. '나는 맞고 너는 틀려'는 주관적인 해석이 많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음악의 영역에서 갈등을 일으키기 참 쉬운 것이 아닌가 싶다.


어쨌든 나에겐 신선하면서도 앞으로 이런 시대연주의 흐름이 어떻게 흘러갈지 보는 것도 클래식을 좋아하는 한명으로서 재밌는 관심분야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기타 참고

https://bachtrack.com/review-schumann-berlioz-gardiner-hallenberg-london-symphony-barbican-march-20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