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과정을 하면 자기가 속한 그룹이 하는 연구와 비슷한 연구를 하는 커뮤니티가 있다. 그러면 이들의 논문도 끊임없이 찾아봐가면서 다른 아이디어를 얻을 것이 없는지 호시탐탐 찾기 마련인데, 생각보다 저널의 개수가 많아서 자칫하면 놓치거나 빼먹기 쉽다. 그래서 추천하고 싶은 기능이 구글 스칼라의 크롤링 기능이다.
구글이 기본적으로 크롤링을 하긴 하지만 스칼라 구글에서는 자신의 이메일 계정으로 해당 키워드의 업데이트가 있을 때마다 메일로 쏴준다. 무슨말이냐 하면,
1. 내가 A라는 그룹의 논문이 올라올 때 마다 알람을 받고 싶다. 라고 하면 이 A 그룹의 교수의 이름이 포함된 논문이 퍼블리시 될 때 마다 나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등록 해놓으면
이렇게 메일이 날라온다. 그럼 읽으면 된다. 여기서 이름에 "," 를 해주는 이유는, 이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만약 "" 없이 넣게 되면 연관된 논문을 싹 보내주게 되기 때문에 취사선택하면 된다.
2. 내 연구 주제와 관련된 전반적인 논문들 알람을 받고 싶다. 라고 하면 그 특정 키워드들을 알림 해놓으면 된다.
나의 경우 이렇게 "" 없이 해놓아서 결과를 받는 알람도 해놓았고
훨씬 구체적인 주제로 받을 수 있는 알람도 해놓았다.
그럼 똑같이
이렇게 알림을 받을 수 있다.
구글 스칼라 Alert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고, 앞에 쓴 것 처럼 따옴표를 포함하던가, 포함하지 않던가 그외 기타 구글 검색어 지정 기능 (얘는 포함하고 쟤는 빼는, 자세한 정보는 '구글 검색 잘하는법' 검색)을 이용하여 설정해두면 되겠다.
이를 통해서 매주 모든 저널을 일일이 둘러보지 않아도 계속해서 중요 저자들의 논문을 업데이트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나만해도 (Nature, Science, Chem, Nat Comm, JACS, AngeWadnte, Inorg Chem, Org Metallics, ACS Cat, Nat Cat, Chem Sci, Dalton, ChemComm, ChemEurJ) 등의 저널을 계속 찾아봐야하기에 구글 스칼라의 크롤링 기능은 더할나위 없이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꼭 써보시길!
'미국 박사과정 함께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미국에서 UHaul로 이사하기! (0) | 2023.05.22 |
---|---|
[박사과정 일기] 박사 5학기, 3년차의 중반을 지나며 드는 생각들 (2) | 2023.04.06 |
미국 대학원 박사과정 입학전, Grad school recruiting event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한국에서 못오시는 분들을 위하여) (0) | 2023.03.07 |
미국 박사과정 Tax return 간단 요약 (0) | 2023.03.04 |
논문 리비전의 단상, 한 편의 논문이 세상에 나타나기까지 (0)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