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chemosensor

(2)
Chemosensor (화학센서) 되돌아보기 학부연구생 1년, 석사 2년을 마치면서 연구했던 화학센서 (Chemosensor) 에 대해서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은 했는데 바빠서 정리를 못했다. 미국와서 시간이 조금 여유로워진 덕에 (일 11시간이 일 8시간 내외로 줄었으니) 글을 쓰고 생각을 정리하려고 하는 시도를 많이 하고 있다. 이런 저런 끄적임도 좋지만 내가 긴 시간 몸담았던 분야에 대해서 정리해보는 시간을 꼭 가지고 싶어서 이 글을 쓰게 되었다. 물론 이 분야에 대해서 내가 대가는 아니고, 이미 관련 분야에 대해 리뷰논문도 다양한 접근 방향에 대해서 많이 나온터라 여유가 되면 그걸 읽어보는 게 좋겠지만, 혹시나 개괄적인 설명이 보고 싶을 때, 영어 논문 말고 한글 설명을 보고 싶은 사람이 있을 때 혹은 갖가지 이유로 내가 나중에 보고 싶을 때를..
Chemosensor, Indicator 개발로부터 제품 개발까지 https://madscientist.wordpress.com/2016/09/27/%EB%A1%9C%EC%A0%80-%EC%B9%98%EC%97%94-roger-y-tsien1952-2016-%ED%88%B4-%EA%B0%9C%EB%B0%9C%EC%9E%90%EC%9D%98-%EC%9D%BC%EC%83%9D/ 지난 번 로저 치엔이라는 과학자의 일생에 대해 다룬 포스팅을 보고서 상당히 느낀점이 많았는데, 시간이 남아서 이 분이 합성한 Fura-2라는 Calcium indicator에 대해 찾아보았다. 원래는 EGTA와 유사한 구조로부터 초기 Calcium indicator를 개발하였으나 이후 이 Fura-2라는 물질을 합성했다고 한다. 다음과 같은 구조인데, 마치 EDTA처럼 킬레이팅(Chealating)..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