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양자수득률

(2)
혈흔을 감지할 때 쓰이는 루미놀(luminol), 어떻게 그렇게 밝게 검출할까? 양자수득률로 비교해보기 이제는 많은 범죄수사 드라마, 영화등을 통해서 알려진 혈흔 검출용 형광체 luminol. 아주 미량의 혈흔도 검출할 수 있기에 이용되는 정도로 알려져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루미놀 분자는 산화제와 만나 급격한 산화반응을 일으키면서 분자의 구조를 바꾸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강한 형광이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실험실에서는 과산화수소(H2O2, hydrogen peroxide) 와 같은 산화제를 사용하지만, 범죄 현장에선 피가 그 역할을 담당한다. 사람의 피에는 헤모글로빈이라는 붉은색을 띠는 단백질이 있는데, 이것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산소를 운반하기 위한 철을 가진 착물 (heme 이라고 불린다)이 중심에 위치해있다. 여기의 철 원자가 루미놀을 산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루미놀 분..
양자 수득률 (Quantum Yield) 어떻게 구해야 할까? / 상대 양자수득률 구하기 (relative quantum yield) 형광체를 다루는 분야에서 Quantum yield (QY), 양자 수득률은 굉장히 중요한 평가요소 중의 하나이다. 집어넣은 광자 (photon)에 대해서 얼만큼의 광자가 튀어나오는지를 계산하는 양자 수득률은 형광체 효율성의 척도로써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간단히 개념을 되짚어 보면, QY는 측정된 광자의 개수/집어넣은 광자의 개수 로 정의되므로, 예를 들어 광자 100개를 집어 넣어서 100개가 나오면 QY는 1 (100%)이며, 50개만 나오면 0.5 (50%)가 되는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QY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QY를 측정해주는 기기를 사는 방법 2. QY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QY를 측정해주는 기기를 사는 방법은 충분한 자금만 있다면 얼마든지 정확히 측정이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