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tope pattern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착물형성에 따른 결합 구조 증명을 위한 분광학적 테크닉 Chemosensor 연구를 하다보니 크리스탈이 커서 구조 파악이 바로 되지 않은 이상은 리간드와 메탈의 결합에 대한 증거 제시를 위해 여러가지 분광학적 자료들을 이용해서 분석할 수 밖에 없다. 특히나 구조파악을 위해 사용하는 논리의 전개과정은 크게 다음과 같다. 1. UV-vis titiration을 통해서 isosbestic point (등흡수점) 를 확인한다-isosbestic point를 통해서 리간드와 메탈이 한가지 종(species)의 화학종만을 만들게 됨을 제시-메탈과 리간드가 상호작용 한다는 정도만 추측 가능 2. Job plot 을 통해 결합비를 추측한다.-리간드와 메탈이 몇 대 몇으로 결합 하는지 농도에 따른 실험인 Job plot을 이용-Job plot에 대한 반박연구도 있어서 (DO..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