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8 착물구조 (1) 썸네일형 리스트형 d8 전자배치를 가지는 금속 이온은 항상 사각평면 착물을 형성할까? 착물(Complex)를 형성함에 있어서 그 구조는 금속에 따라, 리간드에 따라 착물은 여러가지 배위수를 가지며 만들어진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배치는 6배위의 Octahedral (Oh), 4배위의 Tetrahedral (Td), Square planar (Sp), 5배위의 Trigonal bipyrimidal 등이 있다. 이론적인 내용을 접하다보면 4, 6배위의 내용을 많이 접하게 되는데, 결정장 이론 (Crystal Field Theory)를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배위수를 익히기에 좋기 때문이다. 축선상으로 들어오는 6개의 리간드를 통해 Octahedral, 축 사이로 들어오는 4배위 Tetrahedral이 만들어지는 d-d splitting을 배우게 되며, 이후 Z축 두 개의 리간드가 떨어져 나갔다고.. 이전 1 다음